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고양이가 옮을수 있는 사람의 대표적인 질병 3가지 알아보기
    반려묘 행동에 대한 탐구 2024. 4. 18. 08:02
    반응형

    고양이-질병-감염

    안녕하세요. 반려이즘입니다. 내가 걸린 질병이 우리 집 고양이에게 옮길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인수공통 감염병(Zoonosis): 사람과 동물 모두 감염되는 전염병, 즉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감염되는 병을 말하는데요.

    일명 리버스 주노시스 ‘사람으로부터’ 동물들에게 전염되는 질병을 주목해 보겠습니다.

     

     

     

    # 첫 번째, 열이나 기침, 콧물, 가래 

    감기 증상에 의해서 고양이들에게 전염될 수 있는 질병들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a형 독감 코로나19 바이러스도 고양이에게 전파됐다 게 보고가 됐고요 실제로 오리건에서 A형 독감에 걸린 보호자의 고양이가 감염 이후에 폐렴으로 사망했다는 보고도 있었습니다. 얼마만큼 흔한 경우인지에 대해서 궁금할 수 있는데요. 

     

    고양이한테 심한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 자체는 아직까지 많은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몇몇 연구에서는 독감이 되게 유행했던 시기가 지나고 났을 때 꽤 높은 비율로 독감에 대한 항체가 고양이에게서 확인이 됐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가볍게 앓고 지나갔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이 주노시스에 비해서는 연구 자체를 조금 덜한 편입니다. 그래서 깊게 파보면 생각보다 더 많은 비율 비율로 고양이들도 감염됐을 수 있다고 보는 게 맞을 듯합니다.

     

     

     

    # 결핵균

    고양이-질병-감염

    추가적으로 감기 증상을 유발하는 균 중에는 결핵균이 결핵균에 감염되면 폐에 결절이 생긴다거나 기침을 막 하다가 나중에 피를 뽑고 막 근데 이런 결핵의 경우에도 인간으로부터 반려동물에게 감염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심한 감기 증상 유행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에 의해서 고양이에게 전파될 수 있다는 점은 대해서는 한 번쯤 고려해 보는 게 맞을 듯합니다.

     

     

     

    # 두 번째, 살모넬라 

    배탈, 식중독, 구토, 설사를 일으키는 여러 가지 원인 균들 가장 흔한 균들이 살모넬라인데요.우리가 흔히 아는 식중독균이  또 있습니다.

     

    캠필로박터균 - 각종 야생동물 및 가축 장관 내에 널리 분포하는 세균

    우리가 자주 먹는 이 생닭에 보통 캠필로박터 균이 잔존해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열에 되게 약해서 잘 익혀서 먹기만 한다라고 하면 캠필로박터 균이 식중독을 유발하지는 않는데요. 근데 어떻게 이게 감염이 될까요? 생닭을 만진 손이 어딘가를 만졌을 때 거기에서 균들이 떨어져 가지고 식중독을 유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기본 지침들 중에 야채를 쓰는 도마와 닭을 자를 때 쓰는 도마는 나눠서 쓴다거나 익혀서 먹는 것은 너무나 중요합니다. 가끔 생식을 하는 경우 생식의 위험성은 식중독 균에 고양이가 노출될 확률을 높이는 것입니다.

     

    고양이의 설사 유발 (Giardia)

    지알디아 같은 원충 같은 경우에 우리나라처럼 정수가 잘되는 국가에서는 감염될 일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정수가 잘 되지 않는 개발도상국 같은 곳에서 우리가 여행을 갔다 왔는데 갑자기 배탈이나 설사나 이런 경우는 혹시 모릅니다. 이 원충이 내가 감염 돼서 우리 집 고양이한테 옮겨갈 수도 있죠.

     

     

     

    # 세 번째, 피부질병

    고양이-질병-감염

    링웜 같은 경우에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이 곰팡이균에 감염이 되면 이 동그랗게 피부염이 발생하면서 수포가 생기고 미친 듯이 가려워집니다. 보통 고양이들은  피부 면역력이 강하기 때문에 바로 옮겨가지는 않습니다. 다만 고양이가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라면 걸릴 수 있으며 곰팡이성 피부병이 옮겨간다고 해서 생명과 직결되지는 않습니다. 충분히 약복용을 하면 좋아질 수 있습니다. 다만 중요한 것으로 이 포자는 공기 중에 날아다니기 때문에 곰팡이균에 사람과 고양이중 발생을 했다고 하면 환기와 세탁을 잘해야 합니다.

     

     

    반려이즘(PAWISM)은 성숙한 반려문화를 지양합니다.

    반응형
Designed by Paw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