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아지 분리불안의 원인과 증상을 해결하는 방법반려견 행동에 대한 탐구 2023. 12. 22. 11:38반응형
# 분리불안이란?
강아지의 분리불안은 주인이나 가족이 외출하고 혼자 남겨졌을 때불안감과 초조함을 느끼는 상태에 대해서 말합니다. 강아지는 가족과 깊은 애착관계를 형성하고 충성도가 높은 동물이기에 주인과 잠시만 떨어져도 큰 불안감을 느끼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분리불안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불안 상태는 강아지가 외로움과 가족이 멀리 떨어지는 것에 의한 어려움에 대처하는 것을 어려워할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로 어린 시절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성견이 되어서도 나타날수 있지만 분리불안은 강아지의 심리적인 상태로 의학적으로 치료할수 있는 방법이 아닌 주인분의 관심과 분리 상황에 대한 훈련을 통해서 강아지의 불안감을 해소시켜줄수있습니다.
# 분리불안의 원인
분리불안의 원인은 강아지의 성격이나 사회화 형성, 환경, 유전적인 특성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흔하게 발생할 수있는 현상입니다.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로 새로운 가정으로 입양되어 새 환경과 주인을 맞이하는 과정 혹은 상처를 받은 경험이 있다면 그러한 기억을 가지고 있기에 여느 강아지들보다 주인이 없을 때분리불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새롭게 아이를 분양했다면 더욱더 세심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또한 강아지가 어릴 때 충분한 사회화 훈련을 받지 못했다면 낯선 환경의 적응에 대한 어려움과 불안함을 가지게 되는데요. 혼자 남겨졌을 때 스트레스를 받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강아지가 스트레스를 스스로 어느 정도 해소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환경조성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아래에는 분리불안이 나타나는 여러 원인에 대한 이유입니다.
- 강아지의 사회적 특성: 일부 강아지는 자연적으로 무리 생활을 선호하며, 혼자 있는 것에 대한 불안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이전의 부정적인 경험: 강아지가 이전에 혼자 있을 때 나쁜 경험을 한 경우, 이후에는 분리불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강아지와 주인 간의 강한 유대감: 강아지가 주인에게 강한 애착을 가지면, 그 주인이 떠나면 불안을 느낄 수 있습니다.
- 환경의 변화: 새로운 집, 새로운 가족 구성원, 또는 다른 환경적 변화가 강아지의 불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불안이나 고립감: 강아지가 불안해하거나 고립된 느낌을 받을 때 분리불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분리불안시 행동패턴
분리불안을 겪는 강아지는 특정한 행동패턴을 보이는데요. 주인이 외출을 하려는 모습을 보인다면 불안해하고 초조해하거나 주인이 돌아오는 시간만 애타게 기다리며 섭식 장애나 소화 불량과 같은 건강상태 이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외출 후 돌아왔을 때 밥그릇이 비워져있지 않다면 의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분리불안의 초기 증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강아지의 성격, 경험, 환경에 따라 달라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주인과 잠시라도 떨어지면 울음을 터트리거나 짖거나 안절부절하지 못하는 행동, 주인이 집을 떠난 후 과도한 활동이나 과도한 수면, 주인이 떠날 때 과한 흥분과 예민해지는 행동, 배변이나 방광문제를 일으키는 경우, 또는 강아지가 주인이 나갈 때 숨거나 피하는 것 또한 초기 증상 중 하나입니다. 주인이 떠난 후 가구를 파괴하거나 실내의 다양한 물건을 망가트리는 경우, 혼자 있을 때 음식을 잘 먹지 않고 집에서 울고 낑낑거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분리불안을 나타내는 징후입니다.
강아지 분리불안 증상의 예
- 강아지를 두고 외출하려 하는 순간 강아지가 눈물을 흘리거나 행동이 많아진다.
- 외출후 집에서 돌아올경우 반가움 표시이상으로 발작적이고 과도한 흥분을 보인다.
- 혼자 남겨질경우 계속 울거나, 물건을 물어 뜯는 행동을 많이 한다.
# 분리불안 해결 방법
켄넬 훈련과 같은 것을 통해 자신의 영역과 공간에 대한 인식을 시켜주고 장소에 대한 편안함을 느끼게 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좁은 공간보다는 거실과 같은 넓은 공간이 좋습니다. 또한 산책시간 증가는 강아지의 산책은 만병통치약이라고 할 정도로산책과 활동을 통해서 스트레스도 풀고 사람, 강아지와 접점을 가지면서 사회성도 자연스레 발달하게 할 수 있습니다.
노즈워크 장난감을 활용하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간식을 집안 곳곳에 숨겨두고 찾아먹게 하는 놀이로 스트레스 해소에 역시 도움이 됩니다. 강아지 또한 분리 불안을 위해 약물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너무 심한 분리불안을 보이고 있을 경우 수의사와 상담하여 이러한 처방을 내릴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분리불안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 일관된 출입 습관: 일관된 출입 습관을 통해 강아지에게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고, 시간이 예측 가능하다면 불안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짧은 시간으로 출입 연습: 강아지가 짧은 시간동안 혼자 있는 것을 연습하여 점진적으로 시간을 늘려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게임과 훈련 활동: 강아지에게 출입 전에 충분한 신체 활동과 정신적 자극을 제공하여 피로와 불안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안전하고 편안한 공간 제공: 강아지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장소를 마련하여 거기에서 휴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세요.
- 양동적 훈련 및 행동 치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강아지의 불안에 대한 행동 치료 및 긍정적인 훈련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약물 치료: 심각한 경우에는 수의사와 상담하여 약물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반려이즘(PAWISM)은 성숙한 반려문화를 지향합니다.
반응형'반려견 행동에 대한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가 발을 핥는 이유 (발사탕) (1) 2024.01.02 강아지의 심리와 감정, 행동 이해하기 (1) 2023.12.24 강아지가 많이 짖는 이유와 감정 이해하기 (0) 2023.12.21 강아지 입질의 원인과 교육 개물림 예방법 (0) 2023.12.20 강아지의 구토 원인과 대처 방법 알아보기 (0) 202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