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아지의 품종별 지능 순위, 머리 좋은 강아지는?반려견 종류 2024. 3. 8. 07:36반응형
안녕하세요. 반려이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할 부분은 우리 아이가 천재견이 아닌가? 하는 주인 분들이 많으실 텐요. 이것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나가려고 합니다.
# 우리 강아지는 천재일까? 확신은 금물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뭐 자신의 아이가 천재 거나 머리가 아주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그랬는데요. 그러나 아이가 자라면서 여러 가지 평가를 받게 되고 다른 아이들과 비교를 하면서, 일반적인 수준의 아이임을 알고 실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건 강아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는 강아지를 키우면서 내 아이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고 거기에 맞게 교육을 시키며 기댓값을 가져야만 하는 겁니다. 그렇지 않는다면, 지나친 기대로 아이를 힘들게 할 수도 있고, 여러분이 실망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강아지를 대학에 보낼 것도 아니고, 또 취직을 시켜서 일을 시킬 것도 아니기 때문에 아이의 지능은 사실상 크게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 하지만 내 강아지의 지능이 어느 정도 수준의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알면 거기에 따라 기대값을기댓값을 정하고 그 안에서 알맞고 또 적당한 교육을 시키거나 어느 정도의 기댓값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요.
강아지의 품종별 지능을 주제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물론 지능은, 품종보다는 개개 견들의 개체차가 심하기 때문에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꼭 인지하시고 단지 재미로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강아지 지능 측정 방법
물론 품종별로 강아지의 지능의 차이는 아직 정확한 측정 방법이 없으며 현재까지 나온 다양한 측정 방법들은 사실상 지능의 측정이라는 얼마나 우리 사람들의 말을 잘 이해하고 복종하는가 얼마나 우리 사람의 말을 잘 듣는가에 대한 이런 측정 방법들입니다. 이런 측정 방법으로 지능이 높다고 알려진 강아지들은 우선 상위 10% 대의 견종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천재형 견종(상위 10프로)
첫 번째 그룹에 속해 있는 강아지들은 최고로 똑똑한 브라이트 니스트 독 강아지 그룹입니다. 이 그룹의 강아지들은 다섯 번 이하의 반복으로 새로운 명령을 알아들 수 있다고 하고요. 95% 이상의 확률로 첫 번째 지시에 바로 응하는 이런 천재견들입니다. 보더콜리, 푸들, 저먼 셰퍼드, 골든 레트리버, 도베르만 핀셔, 셰틀랜드 십독, 레브라도 리트리버, 빠삐용, 로트와일러, 오스트랄리안 캐틀독이 있습니다
우리가 이미 익숙하게 천재견 잘 알고 있는 이런 개들은 주로 사역견으로 우리 사람들이 다양 다양한 일을 시키거나 경비 혹은 목양 목축에 도움을 주던 실제 우리 사람의 일을 보조해 주던 이런 강아지들입니다.그렇기 때문에 절대적인 복종, 충성심 그리고 눈치가 빨라야 가능한 일들 할 수 있도록 우리 사람들이 그렇게 개량한 품종들인 것입니다. 똑똑해야 할 수 있는 일을 맡기려고 똑똑하게 만들어진 품종이라 볼 수 있습니다.
# 수재형 견종
엑셀런트 워킹 독이라고 아주 똑똑한 강아지 그룹인데요. 이 그룹의 강아지들은 평균적으로 다섯 번에서 15번의 반복 훈련으로 새로운 명령을 알아들을 수 있고 85% 이상의 확률로 첫 번째 지시에 따르는 그런 품종들입니다. 웰시코기, 미니어처 슈나우저, 잉글리시 스프링거, 스파니아 벨지언, 셰퍼드 독, 벨지언 쉽독, 콜리 저먼 포인터, 잉글리시 코카 스패니얼, 스탠더드 슈나우저, 코카 스패니얼, 바이마라너, 포메라니안, 카디건 웰시코기 등 주로 사냥개 품종들이 이 정도 지능의 그룹에 들어갑니다.
# 평균 이상의 우등생 견종
평균 이상의 능력을 보여주는 강아지들로 이 강아지들은 15에서 25회 정도의 반복으로 새로운 명령어를 알아들 수 있습니다. 70% 이상의 확률로 첫 번째 명령을 따른다고 합니다. 이 그룹의 강아지들은 플리, 요크셔테리어, 자이언트 슈나우저, 에어데일 테리어, 보더테리어, 사모예드, 뉴 파운드랜드, 오스트레일리안 테리어, 아메리칸 스탠더드 테리어, 고든 셰터, 배우대드 콜리, 캐리 블루 테리어, 아이리쉬 셰터, 노르웨이 엘 카운드, 펜 피니셔 오스트리안 실키 테리어, 미니어처 피니셔 잉글리시 세터, 노리치 테리어 달마티안 등입니다. 이제 테리어 류의 작은 동물 사냥용 강아지들이 많이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잘 짖고 말썽 부리고 흥분을 잘하는 강아지들이 이 그룹에 많이 눈에 띄기 시작합니다. 활달한 아이들입니다.
# 평균적인 지능을 가진 강아지
이 강아지들은 25번에서 40번의 반복 훈련으로 새 명령을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그러고 50% 이상의 확률로 첫 번째 명령을 따른다고 합니다. 코티드 위튼 테리어, 베들링턴 테리어, 스무 폭스테리어,아이리시 울프 하운드, 오스트리안 셰퍼드, 포인터, 카발리에 킹 찰스 스페니얼, 저먼 와이어 헤어 포인터시베리아 너 스키, 비숑프리제, 티베탄 스페일, 잉글리시 폭스 하운드, 잭러셀 테리어, 아메리칸 폭스 하운드, 그레이하운드, 웨스트 하이랜드 화이트 테리어, 박서 그레이트 댄, 닥스 훈트, 알레스카 말라뮤트, 위펫, 차이니스 샤페이, 와이어 폭스 테리어, 보스턴 테리어 아키타 정도입니다. 주로 테리어 하운드 스페어의 강아지 그룹이 이 그룹에 들어갑니다.
# 평범한 지능을 가진 강아지
이 평범한 지능을 가진 페어 인텔리전스 그룹은 40에서 80회 반복 훈련이 필요하고, 30% 이상의 확률로 첫 번째 명령을 따른다고 합니다. 그냥 사람 말을 잘 못 알아듣는 경우가 많은 이런 품종들로 주로 사랑스러운 토이 품종들 즉 우리가 실내에서 많이 키우는 이런 강아지들이 여기에 많이 들어갑니다.
노폭 테리어, 퍼그, 프렌치 불도그, 그리폰, 몰티즈, 이탈리안 그레이하운드, 티베탄 테리어, 재패니즈 친, 올드 잉글리시 십독, 그레이트 피레니즈, 스코티시 테리어, 세인트 버나드, 불테리어, 치어와, 라사압소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이 그룹의 강아지부터는 왠지 뭐 교육이나 훈련과는 어울리지 않는 이런 강아지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사실상 이 그룹은 훈련소에 보내는 것을 그렇게 권장드리지 않습니다.
# 사실상 지능과 상관없는 견종 ( 낮은 등급 )
이 그룹은 80에서 100번을 해줘야 알아듣는다고 하며, 25% 확률로 첫 지시를 따른다고 합니다. 사실상 우리말을 무시한다고 생각해도 무관한 품종입니다. 내가 무슨 말을 하든 안 듣는 것입니다.시추, 바셋하운드, 마스티프 비글, 페키니즈, 블러드 하운드, 볼조이, 차우차우, 불도그, 바센지, 아프간하운드 등이 그룹에 들어갑니다.
# 지능 측정의 오류
지능 측정의 기준이 사람의 관점에서 얼마나 우리말을 충실히 잘 따르느냐, 얼마나 반복해야 훈련이 가능한가를 기준으로 잡혀 있는 이런 측정 방법입니다. 고집이 세거나 의욕이 없거나 주인에 대한 충성심이 떨어지거나 굳이 내가 왜 사람 말을 들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이 떨어지는 이러한 품종들은 당연히 측정상의 오류로 지능이 낮게 측정된 되는 것입니다. 즉,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라는 것인데요. 지능이 낮은 그룹에 들어간다고 실제로 지능이 낮은 것은 아니라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너무 실망은 안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기준으로 훈련을 시키고 훈련의 성과가 낮다 하고 실망은 안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경우에는 단지 그냥 사람 말을 잘 안 듣는 거지 머리가 안 좋은 것은 아니라고 보실 수 있겠습니다.
반려이즘(PAWISM)은 성숙한 반려문화를 지향합니다.
반응형'반려견 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메라니안 입양 전 알아야 할 이야기 (0) 2024.02.17 패키니즈 입양 전 알아야 할 이야기 (0) 2024.02.15 치와와 입양 전 알아야할 이야기 (0) 2024.02.07 슈나우저 입양전 알아야 할 이야기 (1) 2024.02.06 보스턴테리어 입양전 알아야할 이야기 (0) 2024.02.04